이제는 신문에서도 따로 설명을 해주지 않을 정도로 많은 관심을 갖게 된 메타버스의 핵심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메타버스 안에서 무언가를 만들고 판매해 수익을 얻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즉 가상 경제가 성장하고 있습니다
불과 몇년만에 온라인 게임만 하는 가상 경제 1.0 수준에서 현재 다양한 디지털파일이 가상경제로 유입되는 가상경제 2.0에 도달했습니다
이러한 흐름의 변화에 따라 NFT(대체 불가한 토큰)의 성장이 돋보입니다
온라인 상에서 거래를 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신뢰성'입니다
이전에도 가상 경제는 존재했지만 이 신뢰성이 보장되지 못해 더 이상 성장하지 못했습니다
NFT가 상호간의 거래 기록을 저장하거나 디지털 파일의 소유권을 갖게 하는 디지털 자산화에 강점이 있기 때문에 가상경제와 궁합이 잘 맞았고 가상 경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가상 경제 2.0 생태계는 플랫폼과 인프라로 구성됩니다
- 가상 경제 플랫폼 : 가상 재화가 생산, 소비되어 가상 경제 인프라에 수익 원천을 제공하는 곳
- 가상 경제 인프라 : 가상 경제 플랫폼의 운영 기반
기업들은 적극 투자에 나섭니다
삼성넥스트(투자전문회사)는 SuperRare(NFT 거래소), Dapper Labs(NFT 게임개발사) 등 관련 기업에 투자를 했고 이는 가상 경제 플랫폼에 집중 투자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금융업 또한 NFT라는 흐름에 편승했습니다
가상화폐를 담보물로 하는 기존 DeFi와 달리 NFT로 발행된 디지털파일을 담보로 하는 NFTfi가 등장합니다
지난번 알아본 BakerySwap에서 NFTfi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pconductorproject.tistory.com/entry/BAKE코인-알아보기
BAKE코인 알아보기
BakerySwap은 DEX 거래소로 시작했지만 곧바로 NFT 시장을 론칭해 시장의 선구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 외에도 Launchpad 또는 Gamification(게임화) 같은 핵심 서비스를 운영합니다 그로 인해 BAKE 코인은 21
pconductorproject.tistory.com
이에 따라 골드만삭스나 씨티그룹 같은 글로벌 금융사들이 기존 가상화폐 ETF를 넘어 가상자산 투자를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기술적 발전은 보시다시피 빠르게 충족되고 있으나 제도적 이슈는 그에 비해 갈 길이 멉니다
제도적 이슈까지 해결된다면 가상 경제 3.0이 우리 곁으로 순식간에 다가올 것이니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투자 Project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US: 탄소포집저장기술 (0) | 2021.11.05 |
---|---|
셀프스토리지 간접투자 (0) | 2021.11.04 |
옵티미즘 이더리움 레이어 2 확장 솔루션 (0) | 2021.10.18 |
앵커 프로토콜 알아보기 (0) | 2021.10.17 |
BAKE코인 알아보기 (1) | 2021.10.16 |
댓글